안녕하세요. 이번에는 Maria DB Client를 이용하여 안드로이드 App생성 및 기능 연동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우선은 Maria DB Download 홈페이지에 접근하여, MariaDB Client Library for Java Applications 1.1 Series 를 다운 받습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위에 Download 버튼을 이용하여 다음의 화면에서 mariadb-java-client-1.1.7.tar.gz 를 선택 및 다운 받았습니다.


File NamePackage TypeOS / CPUSizeMeta
mariadb-java-client-1.1.7.tar.gzsource tar.gz fileSource187.2 kBMD5 
Instructions
mariadb-java-client-1.1.7.jarjarUniversal230.7 kBMD5 
Instructions

해당 파일에서 압축파일을 받으셨다면, 아래의 명령어를 통해서 압축을 해제 합니다.

tar -xvzf mariadb-java-client-1.1.7.tar.gz


만약 jar 파일을 다운 받으셨다면, 압축을 해제할 필요 없습니다.


압축을 해제 하셨다면, jar 파일을 발견하실 수 있습니다.


다음단계로,  Eclipse 또는 Android Studio를 이용하여 Application을 새로 생성합니다.


새로 생성하였다면, libs폴더에 다운 받은 Jar 파일을 추가합니다.


그리고 아래와 같이 코드를 작성하여 테스트를 합니다.


AndroidManifest.xml

<uses-permission android:name="android.permission.INTERNET" /> 추가 


Test Code

public static String connectionJDBCTest() {

        StringBuffer sb = new StringBuffer();

        Connection con = null;

        try {

            Class.forName("org.mariadb.jdbc.Driver");

        } catch (ClassNotFound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 만약 위와 같이 Driver를 설정하지 않는다면, Driver를 찾을수 없다는 Error 메세지가 발생될 것 입니다.

        try {


            con = DriverManager.getConnection("jdbc:mysql://Localhost:3306","id","password");

            // 접속하고자 하는 Maria DB Server가 설치된 IP 주소 및 설정되어 있는 ID와 PassWord를 설정.

            Statement st = null;

            ResultSet rs = null;


            st = con.createStatement();


            if(st.execute("SHOW DATABASES")) {

                rs = st.getResultSet();

            }


            while(rs.next()) {

                String str = rs.getString(1);

                sb.append(str);

                sb.append("\n");

            }


        } catch (SQL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finally {

            if(null != con) {

                try {

                    con.close();

                } catch (SQL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

        }


        return sb.toString();

    } 



위와 깉아 작성 후 빌드 및 테스트를 하셨다면, 정상적으로 Maria DB에 정상적으로 연결됨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3. 외부 라이브러리 추가하기(jar 파일 추가하기)

이번에는 외부 라이브러리를 추가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저는 처음에는 jar파일을 app/libs폴더안에 복사만 하면 끝인 줄 알았습니다.

하지만 안되더군요.


그래서 확인한 결과 다음과 같이 라이브러리를 등록해야지만 가능한 것을 확인했습니다.


우선 원하시는 jar파일을 app/libs폴더안에 복사를 합니다. 그러면 Android-Studio에서는 자동으로 파일을 인식하여,

파일 트리에 방금 추가한 jar 파일이 추가되게 됩니다.


해당 파일이 추가되었음을 확인하셨다면, 해당 파일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마우스 오른쪽 클릭을 하여, 팝업 메뉴를 보면, [ Add As Library...]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Add As Library...] 를 선택 후, OK를 눌러주게 되면 자동으로 빌드가 됩니다.


빌드가 완료되었다면, app/libs폴더안의 추가한 jar파일에 삼각형이 생긴 것을 확인하 실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해서 외부 라이브러리를 추가하는 것입니다.


역시 처음 다루는 툴이다보니, 적응하기가 어렵네요.

제가 외부 라이브러리를 추가해볼려고 1시간을 해매고 있었습니다. ㅠㅠ

여러분들 에게 도움이 되셨으면 하네요.


'안드로이드 > Android Studio' 카테고리의 다른 글

2. Android Studio Theme 변경하기.  (0) 2014.08.14
1. Android Studio 설치(Ubuntu 환경)  (0) 2014.08.14

2. Android Studio Theme 변경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Project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Android Studio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날 것입니다.



위의 화면에서 [ Configure ] 를 선택합니다.


그리고 다음 목록에서 [ Setting ] 을 선택합니다.



[Project가 존재할 경우]

상단의 메뉴에서 [File] --> [Settings] 를 선택합니다.

또는 상단의 단축 메뉴 중, [Settings Icon]을 선택합니다.



[Settings Window를 화면에 뛰웠을 경우]

왼쪽 메뉴 중, [ Appearance ] 를 선택하고, 오른쪽의 [ UI Option ] 중, [Theme]를 선택하면, 원하는 theme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가 테마를 변경하는 방법입니다.


모두들 힘내시고 수고하세요!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