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처리 효율이 좋을 것.
3. 일반적일 것.
4. 확장성이 있을 것.
5. 알기 쉬울 것.
6. 이식성이 높을 것.
Locale에 따른 시간 포멧 설정. (0) | 2011.06.15 |
---|---|
PowerManager 사용시 유의점. (0) | 2011.06.13 |
안드로이드 부팅 순서 (0) | 2011.05.16 |
Key events executed on key-up (0) | 2011.05.12 |
Android에서 Home Key와 Power(Endcall) Key를 onKeyDown, onKeyUp으로 인식 할 수 없는 이유. (0) | 2011.05.12 |
안드로이드는 리눅스 커널을 이용한다. 따라서 리눅스의 시작 시퀀스 이후에 안드로이드 고유 시스템이 동작하게 된다.
기본적인 동작을 잘 설명한 곳( http://samse.tistory.com/112?srchid=BR1http%3A%2F%2Fsamse.tistory.com%2F112 )이 있어서 일부 발췌해 온다.
리눅스는 기본적으로 init이 가장먼저 실행된다. init.rc 라는 이름의 파일에는 init이 해야할 작업들이 기록되어 있다. 파일시스템 마운팅, 폴더 권한설정, 캐시폴더 삭제, 시작프로그램 동작 등이 기록되어 있다. 우선 데몬을 올린다. 데몬은 init에 의해 리눅스와 같이 시작되었다가 리눅스가 종료될 때 없어지는 프로그램으로서 데몬을 작성하는 규격에 따라 만들어져야 한다. Zygote가 Dalvik을 초기화 한다. C 밑에 있는 기본라이브러리들은 런타임을 통해 실행되고 상위 서비스들은 Dalvik을 통해 실행된다. 이러한 과정들을 위한 설정은 해당하는 config 파일을 수정하면 된다. 어떤 동작들을 바꾸고 싶으면 기본적으로 init.rc를 바꾸면 되고 Zygote를 바꾸고 싶으면 그 설정파일을 바꾸면 된다. 그리고 시스템서버, 서페이스매니저, 오디오매니저들이 올라간다. 그 다음에는 시스템 서비스들이 활성화 된다. 이들은 서비스이므로 서비스매니저에 등록된다.
init은 /system/core/init 디렉토리에 관련 소스가 있다. init.rc 파일은 /system/core/rootdir/에 있다.
init이 하는 일과 init.rc 파일을 작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여기(http://www.aesop.or.kr/?document_srl=46566 )를 참조한다.
init이 하는 일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log system 초기화
2. /init.rc와 /init.%hardware$.rc 파일 파싱
3. 2번 스텝의 2개 파일에서 초기 선동작(early-init action) 수행
4. 디바이스 종속적인 초기화 작업 (예를 들어 /dev 에 모든 디바이스 노드 만듬)
5. property system 초기화 (property system은 공유 메모리로 동작하며 윈도우의 레지스트리와 같은 역활이다)
6. 2번 스텝의 2개 파일에서 초기 동작(init action) 수행
7. property service 시작
8. 2번 스텝의 2개 파일에서 선부팅(early boot), 부팅(boot) 동작 수행
9. 2번 스텝의 2개 파일에서 property 동작 수행
10. device/property가 /child process를 셋할때까지 대기하면서 rc 파일에 정의된 명령어를 수행한다.
위의 설명처럼 /out/target/product/XXX/init.rc 를 먼저 살펴 보자.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폴더 권한 설정 등의 초기화 작업을 하고 나면
Demon을 올리는 작업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console : shell 을 시작 (system/core/sh/)
## Daemon processes to be run by init.
##
service console /system/bin/sh
console
2) abdb : abdb daemon을 시작 (system/core/adb/)
# adbd on at boot in emulator
on property:ro.kernel.qemu=1
start adbd
on property:persist.service.adb.enable=1
start adbd
on property:persist.service.adb.enable=0
stop adbd
3) servicemanager : binder system을 시작 (framework/base/cmds/servicemanager/)
service servicemanager /system/bin/servicemanager
user system
critical
onrestart restart zygote
onrestart restart media
4) vold : volume daemon 시작 (system/core/vold/)
#service mountd /system/bin/mountd
# socket mountd stream 0660 root mount
5) debuggerd : debug system을 시작 (system/debuggerd/)
service debuggerd /system/bin/debuggerd
6) rild : radio interface layer daemon을 시작 (hardware/ril/rild/)
service ril-daemon /system/bin/rild
socket rild stream 660 root radio
socket rild-debug stream 660 radio system
user root
group radio cache inet misc
7) Zygote : (frameworks/base/cmds/app_process/)
service zygote /system/bin/app_process -Xzygote /system/bin --zygote --start-system-server
socket zygote stream 666
onrestart write /sys/android_power/request_state wake
onrestart write /sys/power/state on
8) media : AudioFlinger, MediaPlayerService, CameraService를 시작 (frameworks/base/media/mediaserver/)
service media /system/bin/mediaserver
user media
group system audio camera graphics inet net_bt net_bt_admin
관련 코드를 보면 굉장히 간단하다. (framework/base/media/mediaserver/main_mediaserver.cpp)
int main(int argc, char** argv)
{
sp<ProcessState> proc(ProcessState::self());
sp<IServiceManager> sm = defaultServiceManager();
LOGI("ServiceManager: %p", sm.get());
AudioFlinger::instantiate();
MediaPlayerService::instantiate();
CameraService::instantiate();
ProcessState::self()->startThreadPool();
IPCThreadState::self()->joinThreadPool();
}
9) bootsound : boot sound (system/media/audio/ui/boot.mp3)를 재생, (그런데 이 바이너리는 실제 찾을 수 없네...?. 그리고 샘플 파일도 안 만들어 지네)
service bootsound /system/bin/playmp3
user media
group audio
oneshot
10) dbus : dbus daemon 시작 (BlueZ 즉 Bluetooth 관련 서비스) (external/dbus/bus/)
service dbus /system/bin/dbus-daemon --system --nofork
socket dbus stream 660 bluetooth bluetooth
user bluetooth
group bluetooth net_bt_admin
11) hcid : hcid의 stdout, stdin을 안드로이드 logging sytstem으로 redirect (external/bluez/hcid/)
service hcid /system/bin/hcid -s -n -f /etc/bluez/hcid.conf
socket bluetooth stream 660 bluetooth bluetooth
socket dbus_bluetooth stream 660 bluetooth bluetooth
# init.rc does not yet support applying capabilities, so run as root and
# let hcid drop uid to bluetooth with the right linux capabilities
group bluetooth net_bt_admin misc
disabled
12) hfag : Bluetooth handsfree audio gateway 시작 (BlueZ 만 사용) (external/bluez/utils/tools/)
13) hsag : Bluetooth headset audio gateway 시작 (BlueZ 만 사용) (external/bluez/utils/tools/)
14) install : install package daemon 시작 (frameworks/cmds/installd/)
service installd /system/bin/installd
socket installd stream 600 system system
15) flash_recovery : /system/recovery.img를 로드 (bootable/recovery/mtdutils/)
service flash_recovery /system/bin/flash_image recovery /system/recovery.img
oneshot
강조한 것처럼 바와 같이 servicemanager을 이용해서 zygote와 media를 시작하고 SD 카드와 USB의 mount 등을 처리하는 vold 데몬을 올린다. 이후 부팅 사운드를 재생하거나 다른 필요한 데몬들을 올리게 된다. 이후 다시 강조한 부분을 보면 zygote를 이용해서 system server 를 시작한다. 이후 media를 다시 시작한다(?)
안드로이드의 system server는 Native Service와 여러가지 기본 서비스(core system service 라고도 한다)들로 이루어진다.
/framework/base/cmds/system_server/library/system_init.cpp 를 보면 system_init() 함수가 있다. 이 파일은 실제 사용한다기 보다는 초기화 흐름을 알게 해주는 코드로 보인다.
extern "C" status_t system_init()
{
LOGI("Entered system_init()");
sp<ProcessState> proc(ProcessState::self());
sp<IServiceManager> sm = defaultServiceManager();
LOGI("ServiceManager: %p\n", sm.get());
sp<GrimReaper> grim = new GrimReaper();
sm->asBinder()->linkToDeath(grim, grim.get(), 0);
char propBuf[PROPERTY_VALUE_MAX];
property_get("system_init.startsurfaceflinger", propBuf, "1");
if (strcmp(propBuf, "1") == 0) {
// Start the SurfaceFlinger
SurfaceFlinger::instantiate();
}
// On the simulator, audioflinger et al don't get started the
// same way as on the device, and we need to start them here
if (!proc->supportsProcesses()) {
// Start the AudioFlinger
AudioFlinger::instantiate();
// Start the media playback service
MediaPlayerService::instantiate();
// Start the camera service
CameraService::instantiate();
}
// And now start the Android runtime. We have to do this bit
// of nastiness because the Android runtime initialization requires
// some of the core system services to already be started.
// All other servers should just start the Android runtime at
// the beginning of their processes's main(), before calling
// the init function.
LOGI("System server: starting Android runtime.\n");
AndroidRuntime* runtime = AndroidRuntime::getRuntime();
LOGI("System server: starting Android services.\n");
runtime->callStatic("com/android/server/SystemServer", "init2");
// If running in our own process, just go into the thread
// pool. Otherwise, call the initialization finished
// func to let this process continue its initilization.
if (proc->supportsProcesses()) {
LOGI("System server: entering thread pool.\n");
ProcessState::self()->startThreadPool();
IPCThreadState::self()->joinThreadPool();
LOGI("System server: exiting thread pool.\n");
}
return NO_ERROR;
}
코드를 보면 알겠지만 크게 다음 순서로 초기화 과정이 이루어진다.
1. Native Service 초기화
SurfaceFlinger
AudioFlinger
MediaPlayerService
CameraService
2. Android RunTime 시작
SystemServer
안드로이드가 동작하기 위한 여러가지 기본 서비스들(또는 JAVA 서비스)을 시작하는 곳이 SystemServer이다.
파일 위치는 다음과 같다.
/frameworks/base/services/java/com/android/server/SystemServer.java
SystemServer 클래스는 init2() 함수를 호출하게되면 ServerThread를 동작시키고 여기에서 다양한 서비스들을 시작한다.
서비스 시작하는 순서대로 대충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run 함수의 내용을 그냥 정리한 것이며 * 표시 없는 것은 주서비스이고 * 표시 있는 것은 부가 서비스이다)
Power Manager 시작
Activity Manager 생성
ActivityManager를 생성해서 context를 받으면 이후 서비스들에는 context를 전달한다.
(아직 이 구조는 잘 모르겠지만 서비스들에서 설정이나 특정 이벤트들을 브로드 캐스팅하기 위해서는 context를 이용해야 하는 것 같다. ActivityManger에서 이를 위한 초기화 과정이 이루어지고 이후 서비스들은 context를 가지고 서로간의 통신이나 Focus 이동이 생길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 같다. 이것은 아직은 어디까지나 추측이다.)
Telephony Registry 시작
Package Manager 시작
System Process로 Activity Manager 설정
Context Manager 시작
System Context Providers 시작
Battery Service 시작
* Hardware Service 시작
Alarm Manager 시작
Sensor Service 시작
Window Manager 시작
Bluetooth Service 시작
BluetoothDeviceService
BluetoothA2dpService
*Status Bar Service 시작
ClipboardService
InputMethodManagerService
*NetStat Service 시작
*Connectivity Service 시작
*Notification Manager 시작
Mount Service 시작
*DeviceStorageMonitor Service 시작
*Location Manager 시작
*SearchManager Service 시작
*Clipboard Service 시작
*Fallback Checkin Service 시작
*WallpaperService 시작
*Audio Service 시작
*Headset Observer 시작
(?)AppWidgetService
*AdbSettingsObserver 시작
(?)HDMISettingsObserver 시작
PowerManager 사용시 유의점. (0) | 2011.06.13 |
---|---|
Resource[.xml]에서 add-resource 역할. (0) | 2011.05.20 |
Key events executed on key-up (0) | 2011.05.12 |
Android에서 Home Key와 Power(Endcall) Key를 onKeyDown, onKeyUp으로 인식 할 수 없는 이유. (0) | 2011.05.12 |
Thread 우선순위 설정. (0) | 2011.05.03 |
Android 2.0 is designed to run on devices that use virtual keys for HOME, MENU, BACK, and SEARCH, rather than physical keys. To support the best user experience on those devices, the Android platform now executes these buttons at key-up, for a key-down/key-up pair, rather than key-down. This helps prevent accidental button events and lets the user press the button area and then drag out of it without generating an event.
This change in behavior should only affect your application if it is intercepting button events and taking an action on key-down, rather than on key-up. Especially if your application is intercepting the BACK key, you should make sure that your application is handling the key events properly.
In general, intercepting the BACK key in an application is not recommended, however, if your application is doing so and it invokes some action on key-down, rather than key-up, you should modify your code.
If your application will use APIs introduced in Android 2.0 (API Level 5), you can take advantage of new APIs for managing key-event pairs:
onBackPressed()
method.startTracking()
method), then invoke the action at key up. Here's a pattern you can use:public boolean onKeyDown(int keyCode, KeyEvent event) {
if (keyCode == KeyEvent.KEYCODE_BACK
&& event.getRepeatCount() == 0) {
event.startTracking();
return true;
}
return super.onKeyDown(keyCode, event);
}
public boolean onKeyUp(int keyCode, KeyEvent event) {
if (keyCode == KeyEvent.KEYCODE_BACK && event.isTracking()
&& !event.isCanceled()) {
// *** DO ACTION HERE ***
return true;
}
return super.onKeyUp(keyCode, event);
}
If you want to update a legacy application so that its handling of the BACK key works properly for both Android 2.0 and older platform versions, you can use an approach similar to that shown above. Your code can catch the target button event on key-down, set a flag to track the key event, and then also catch the event on key-up, executing the desired action if the tracking flag is set. You'll also want to watch for focus changes and clear the tracking flag when gaining/losing focus.
Resource[.xml]에서 add-resource 역할. (0) | 2011.05.20 |
---|---|
안드로이드 부팅 순서 (0) | 2011.05.16 |
Android에서 Home Key와 Power(Endcall) Key를 onKeyDown, onKeyUp으로 인식 할 수 없는 이유. (0) | 2011.05.12 |
Thread 우선순위 설정. (0) | 2011.05.03 |
Looper (0) | 2011.05.03 |
안드로이드 부팅 순서 (0) | 2011.05.16 |
---|---|
Key events executed on key-up (0) | 2011.05.12 |
Thread 우선순위 설정. (0) | 2011.05.03 |
Looper (0) | 2011.05.03 |
DIP를 px로 변환하기 (0) | 2011.04.21 |
public class SchedulingTest4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hread[] t = new RunThread4[3];
t[0] = new RunThread4("☆");
t[0].start();
t[0].setPriority(1); // ☆ 가장 느린 우선 순위
t[1] = new RunThread4("◑");
t[1].start();
t[1].setPriority(5);
t[2] = new RunThread4("○");
t[2].start();
t[2].setPriority(10); // ○ 가장 빠른 우선 순위
/*
System.out.println("t[0]" + t[0].getPriority());
System.out.println("t[1]" + t[1].getPriority());
System.out.println("t[2]" + t[2].getPriority());
*/
}
}
[출처] [52] Thread, Thread Call Back 메소드, 우선순위|작성자 철
Key events executed on key-up (0) | 2011.05.12 |
---|---|
Android에서 Home Key와 Power(Endcall) Key를 onKeyDown, onKeyUp으로 인식 할 수 없는 이유. (0) | 2011.05.12 |
Looper (0) | 2011.05.03 |
DIP를 px로 변환하기 (0) | 2011.04.21 |
[Service] onStartCommand (0) | 2011.04.06 |
Android에서 Home Key와 Power(Endcall) Key를 onKeyDown, onKeyUp으로 인식 할 수 없는 이유. (0) | 2011.05.12 |
---|---|
Thread 우선순위 설정. (0) | 2011.05.03 |
DIP를 px로 변환하기 (0) | 2011.04.21 |
[Service] onStartCommand (0) | 2011.04.06 |
Android에서 alarm List의 Item들이 무한으로 재생되는 경우 (0) | 2011.04.04 |
이전에 SQL Server 2005에서의 대량의 데이터를 로딩한 방법 별 수행 성능을 비교한 글을 올린 적이 있습니다. OPENROWSET, BCP, BULK INSERT, SSIS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로딩하는 속도 비교를 측정한 글입니다. (http://www.sqlleader.com/mboard.asp?exec=view&strBoardID=SS2005TSQL&intSeq=351)
이번 글은 BULK INSERT 명령을 이용할 때 여러 경우에 대한 성능 비교 결과를 정리한 것입니다.
다음과 같은 형태의 10,000,000 건의 텍스트 파일을 Bulk Insert 명령을 이용하여 테이블로 로딩할 때 옵션에 따른 수행 시간 비교입니다. 각 경우에 대해 3회 반복 수행을 한 후, 평균 소요 시간을 이용하여 비교하였습니다.
[테스트 파일 - TestFile.txt]
Int형 순번 열, 100자리 문자 열 : 10,000,000 건
[저장 테이블 - TESTTABLE]
USE TEMPDB GO
---------------------------------------- --TEST TABLE ----------------------------------------- CREATE TABLE TESTTABLE ( SEQ INT, ) GO |
※ DB File Size 증가로 인한 지연을 막기 위해 DB Size를 충분히 크게 늘린 후 수행함.
TEST 1) 인덱스가 없는 테이블에 로딩
--인덱스가 없는 테이블에 로딩 BULK INSERT TESTTABLE FROM 'D:\TestFile.txt' WITH ( FIELDTERMINATOR =',', ROWTERMINATOR ='\n' ) GO |
처리 시간
1회 -
2회 -
3회 -
평균 -
TEST 2) 인덱스가 없는 테이블에 로딩 + TABLOCK 옵션 적용
--인덱스가 없는 테이블에 로딩 + TABLOCK 옵션 BULK INSERT TESTTABLE FROM 'D:\TestFile.txt' WITH ( FIELDTERMINATOR =',', ROWTERMINATOR ='\n', TABLOCK ) GO |
처리 시간
1회 -
2회 -
3회 -
평균 -
TEST 3) 인덱스가 없는 테이블에 로딩 + TABLOCK 옵션 적용 + 일괄 처리 크기 100,000으로 설정
--인덱스가 없는 테이블에 로딩 + TABLOCK 옵션 + RPB 100,000 BULK INSERT TESTTABLE FROM 'D:\TestFile.txt' WITH ( FIELDTERMINATOR =',', ROWTERMINATOR ='\n', TABLOCK, ROWS_PER_BATCH = 100000 ) GO |
처리 시간
1회 -
2회 -
3회 -
평균 -
[Clustered Index 생성]
--Seq 컬럼에 Clustered Index 생성 CREATE CLUSTERED INDEX CIX_TESTTABLE ON TESTTABLE(SEQ) GO |
TEST 4) Clustered Index가 있는 테이블에 로딩
--Clustered Index가 있는 테이블에 로딩 BULK INSERT TESTTABLE FROM 'D:\TestFile.txt' WITH ( FIELDTERMINATOR =',', ROWTERMINATOR ='\n' ) GO |
처리 시간
1회 -
2회 -
3회 -
평균 -
TEST 5) Clustered Index가 있는 테이블에 로딩 + 일괄 처리 크기 100,000
-- Clustered Index가 있는 테이블에 로딩 -- RPB 100,000 BULK INSERT TESTTABLE FROM 'D:\TestFile.txt' WITH ( FIELDTERMINATOR =',', ROWTERMINATOR ='\n', ROWS_PER_BATCH = 100000 ) GO |
처리 시간
1회 -
2회 -
3회 -
평균 -
TEST 6) Clustered Index가 있는 테이블에 로딩 + ORDER 옵션
-- Clustered Index가 있는 테이블에 로딩 -- ORDER 옵션 BULK INSERT TESTTABLE FROM 'D:\TestFile.txt' WITH ( FIELDTERMINATOR =',', ROWTERMINATOR ='\n', ORDER(SEQ ASC) ) GO |
처리 시간
1회 -
2회 -
3회 -
평균 -
TEST 7) Clustered Index가 있는 테이블에 로딩 + 일괄 처리 크기 100,000 + ORDER 옵션
-- Clustered Index가 있는 테이블에 로딩 -- RPB 100,000 + ORDER 옵션 BULK INSERT TESTTABLE FROM 'D:\TestFile.txt' WITH ( FIELDTERMINATOR =',', ROWTERMINATOR ='\n', ROWS_PER_BATCH = 100000, ORDER(SEQ ASC) ) GO |
처리 시간
1회 -
2회 -
3회 -
평균 -
TEST 8) Clustered Index가 있는 테이블에 로딩 + ORDER 옵션 + TABLOCK 옵션
-- Clustered Index가 있는 테이블에 로딩 -- ORDER 옵션 + TABLOCK 옵션 BULK INSERT TESTTABLE FROM 'D:\TestFile.txt' WITH ( FIELDTERMINATOR =',', ROWTERMINATOR ='\n', ORDER(SEQ ASC), TABLOCK ) GO |
처리 시간
1회 -
2회 -
3회 -
평균 -
TEST 9) Clustered Index가 있는 테이블에 로딩 + ORDER 옵션 + TABLOCK 옵션 + 일괄 처리 크기 100,000
-- Clustered Index가 있는 테이블에 로딩 -- RPB 100,000 + ORDER 옵션 + TABLOCK 옵션 BULK INSERT TESTTABLE FROM 'D:\TestFile.txt' WITH ( FIELDTERMINATOR =',', ROWTERMINATOR ='\n', ROWS_PER_BATCH = 100000, ORDER(SEQ ASC), TABLOCK ) GO |
처리 시간
1회 -
2회 -
3회 -
평균 -
Clustered Index가 없는 힙(Heap) 테이블에 Bulk Insert 명령을 이용하여 로딩할 경우, TABLOCK의 옵션 설정에 따라 3배 정도의 속도 차이가 있습니다. 하지만, 일괄 처리 크기(Rows Per Batch) 설정은 성능에 별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34초 : 33초)
TABLOCK 옵션은 Bulk Insert 작업 수행 시 해당 테이블에 테이블 수준의 잠금을 설정함으로써, 하위 수준의 잠금 사용 시 발생하는 잠금 경합(Escalation)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잠금을 설정하고 해제하는 단계를 줄여주기 때문에 처리 성능이 크게 향상될 수 있습니다. (옵션 적용 전 - 109초, 옵션 적용 - 34초) 하지만, 이 옵션을 적용하여 로딩할 경우에는 WITH (NOLOCK) 옵션 또는 WITH (READUNCOMMITTED) 옵션을 사용하더라도 로딩 중에 해당 테이블의 데이터를 읽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로딩 중에 다른 부분에서 사용되는 테이블인 경우에는 이 옵션을 적용할 경우 블로킹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Clustered Index가 설정되어 있는 테이블인 경우에는 Heap 테이블과는 달리 몇 가지 옵션을 더 설정할 수 있습니다.
우선 옵션 없이 단순히 Bulk Insert를 수행할 경우, 입력된 데이터에 대해 인덱스 구성 작업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힙 테이블의 로딩과 비교했을 때 훨씬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됩니다. (Heap - 109초, Clustered Index - 219초)
일괄 처리 크기(Rows Per Batch)를 100,000건으로 설정하게 되면 전체 건(10,000,000건)의 인덱스를 한 번에 구성하는 대신 100,000건씩 나누어서 구성하기 때문에 처리 시간이 단축될 수 있습니다. (일괄 처리 - 219초, RPB 100,000건 168초)
만약 입력되는 데이터가 적재될 테이블의 Clustered 열과 동일한 순서로 정렬된 데이터인 경우에는ORDER(열 이름 [ASC | DESC]) 옵션을 이용하여 처리 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습니다. 본 테스트에서는 텍스트 파일의 첫 번째 열로 정렬된 데이터이며, 이 데이터가 테이블의 SEQ열로 입력되기 때문에 ORDER 옵션을 적용할 경우, 처리 시간이 단축됩니다. (옵션 미 적용 - 219초, ORDER 옵션 적용 - 141초)
또한 Heap에서와 마찬가지로 TABLOCK 옵션을 설정하여 처리할 경우, 처리 시간이 크게 단축됩니다. 10,000,000건의 텍스트 파일에 대해 아무런 옵션 없이 Bulk Insert 작업을 수행한 경우에 비해 ORDER, TABLOCK 옵션을 이용하여 처리한 수행 시간이 6배 정도 빠르게 나타났습니다. (219초 : 37초)
참고로, 이러한 사항은 BULK INSERT 명령뿐만 아니라 SSIS(Integration Services) 패키지의 데이터 로딩 작업에서도 설정할 수 있는 사항입니다.
- OLE DB 대상에서 빠른 로드 설정 후, 고급 OLE DB 대상 편집기 중 FastLoadOptions 부분에서 설정
- SQL Server 대상의 고급 Server 대상 편집기 중, BulkInsertOrder 부분에서 설정
본 게시판에 실린 글은 누구나 복사하셔서 이용하셔도 되지만, 반드시 출처(SQLLeader.com) 및 글의 링크를 밝혀주셔야 합니다.
Alias(별칭) "AS" (0) | 2011.05.02 |
---|---|
Case When문 (0) | 2011.05.02 |
넥서스 S 바이너리 올리기 (0) | 2012.11.25 |
---|---|
[Hudson] 자동 빌드 설정 방법 (0) | 2012.08.10 |
SVN GUI TOOL[SVN Tool - RapidSVN 사용법] (0) | 2011.02.09 |
SVN (0) | 2011.02.09 |
MMAP (0) | 2011.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