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에서 안전모드(Safe Mode)로 진입할 수 있듯이 안드로이드에서도 안전모드로 진입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안전모드에 대해서 알 필요가 있습니다. 
안전 모드란 OS를 진단하기 위한 모드로, 전자 장비에 이상이 생겼을 때 주로 실행합니다.
이는 진단 모드 또는 복구 모드라고도 불리기도 합니다.
OS가 안전모드로 부팅되었을 경우 시스템을 부팅에 필요한 최소한의 파일과 드라이버만 사용되는 등 기능적으로 제약이 많으나, 오히려 이를 통해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어느 정도 도움이 되고나 하는 것입니다.
<위의 내용은 위키백과에서 참고하였습니다.>

이제 안드로이드에서 안전모드로 부팅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안전모드로 부팅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조건이 성립되면 안전모드로 부팅됩니다.

 부팅하기 전부터 다음의 버튼중 하나만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부팅을 완료하게 되면, 안전모드로 들어가게 됩니다.
1. Menu Key
2. S Key
3. Dpad에서 Center Key
4. TrackBall Button

위의 방법은 안전모드로 진입하는 방법입니다.

이 부분에 해당되는 소스 부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frameworks/base/services/java/com/android/server/SystemServer.java
 run() {
...
// Before things start rolling, be sure we have decided whether
// we are in safe mode.
final boolean safeMode = wm.detectSafeMode();
if (safeMode) {
    try {
        ActivityManagerNative.getDefault().enterSafeMode();
        // Post the safe mode state in the Zygote class
        Zygote.systemInSafeMode = true;
        // Disable the JIT for the system_server process
        VMRuntime.getRuntime().disableJitCompilation();
    } catch (RemoteException e) {
    }
} else {
    // Enable the JIT for the system_server process
    VMRuntime.getRuntime().startJitCompilation();
}
...
위의 소스를 보시면 safeMode로 진입하기 위해서는 
detectSafeMode
함수를 타야 됩니다. 이 함수를 들여다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frameworks/policies/base/phone/com/android/internal/policy/impl/
PhoneWindowManager.java
public boolean detectSafeMode() {
    try {
        int menuState = mWindowManager.getKeycodeState(KeyEvent.KEYCODE_MENU);
        int sState = mWindowManager.getKeycodeState(KeyEvent.KEYCODE_S);
        int dpadState = mWindowManager.getDPadKeycodeState(KeyEvent.KEYCODE_DPAD_CENTER);
        int trackballState = mWindowManager.getTrackballScancodeState(RawInputEvent.BTN_MOUSE);
        mSafeMode = menuState > 0 || sState > 0 || dpadState > 0 || trackballState > 0;
        performHapticFeedbackLw(null, mSafeMode
                ? HapticFeedbackConstants.SAFE_MODE_ENABLED
                : HapticFeedbackConstants.SAFE_MODE_DISABLED, true);
        if (mSafeMode) {
            Log.i(TAG, "SAFE MODE ENABLED (menu=" + menuState + " s=" + sState
                    + " dpad=" + dpadState + " trackball=" + trackballState + ")");
        } else {
            Log.i(TAG, "SAFE MODE not enabled");
        }
        return mSafeMode;
    } catch (RemoteException e) {
        // Doom! (it's also local)
        throw new RuntimeException("window manager dead");
    }
}

위의 소스를 보시면 알수 있듯이 
 menuState, sState, dpadState, trackballState의 값들에 의해서 SafeMode에 진입 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