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의 현재 설정 언어/국가/timezone 등은
/data/property 디렉토리에
persist.sys.timezone
persist.sys.language
persist.sys.country
이런 파일명으로 저장되어 있습니다.
설정에서 언어들 바꾸고, 위 위치에 가서 cat 등으로 보시면 저장된 값이 바뀌어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즉, 부팅시에 이 파일이 있으면 해당 언어로 안드로이드 OS가 구동이 된다는 것입니다.
그럼, 위 파일을 저장해 주는 방법이 OS 빌드 중에 어딘가에 있겠지요.
이것은 init.rc 파일에 적어주면 되더군요.
OS의 소스 디렉토리 중에서
vender/업체/프로젝트/ 로 된 디렉토리에 가시면, init.rc 파일이 있는데요.
위의 아래쪽 3줄 처럼 넣어 줍니다.
setprop 의 위치가 중요하지는 않을 수도 있는데요.
전 저 위치에 넣었습니다.
이렇게 해서 OS를 빌드하면,
최초 실행시에도 한글로 나온답니다.
출처 : http://www.androidpub.com/203240
build\target\product\sdk.mk or core.mk 등에서 사용되기도 함.
PRODUCT_LOCALES := en_US ko_KR 이렇게 작성하면 목록에는 영어와 한국어 두개만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Locale Default로는 en_US로 사용됩니다.
/data/property 디렉토리에
persist.sys.timezone
persist.sys.language
persist.sys.country
이런 파일명으로 저장되어 있습니다.
설정에서 언어들 바꾸고, 위 위치에 가서 cat 등으로 보시면 저장된 값이 바뀌어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즉, 부팅시에 이 파일이 있으면 해당 언어로 안드로이드 OS가 구동이 된다는 것입니다.
그럼, 위 파일을 저장해 주는 방법이 OS 빌드 중에 어딘가에 있겠지요.
이것은 init.rc 파일에 적어주면 되더군요.
OS의 소스 디렉토리 중에서
vender/업체/프로젝트/ 로 된 디렉토리에 가시면, init.rc 파일이 있는데요.
01.
# killed by the kernel. These are used in ActivityManagerService.
02.
setprop ro.FOREGROUND_APP_ADJ 0
03.
setprop ro.VISIBLE_APP_ADJ 1
04.
setprop ro.SECONDARY_SERVER_ADJ 2
05.
setprop ro.BACKUP_APP_ADJ 2
06.
setprop ro.HOME_APP_ADJ 4
07.
setprop ro.HIDDEN_APP_MIN_ADJ 7
08.
setprop ro.CONTENT_PROVIDER_ADJ 14
09.
setprop ro.EMPTY_APP_ADJ 15
10.
11.
# for default langudage
12.
setprop persist.sys.language ko
13.
setprop persist.sys.country KR
14.
setprop persist.sys.timezone Asia/Seoul
위의 아래쪽 3줄 처럼 넣어 줍니다.
setprop 의 위치가 중요하지는 않을 수도 있는데요.
전 저 위치에 넣었습니다.
이렇게 해서 OS를 빌드하면,
최초 실행시에도 한글로 나온답니다.
출처 : http://www.androidpub.com/203240
build\target\product\sdk.mk or core.mk 등에서 사용되기도 함.
설정의 언어 목록을 수정하는 방법은 바이너리 빌드시에 Product.mk 파일을 수정해 주면 된다.
기본적으로 Product.mk 파일은 device/[company]/[Project]/Product.mk 또는 [Project Name].mk로 존재 합니다.
기본적으로 Product.mk 파일은 device/[company]/[Project]/Product.mk 또는 [Project Name].mk로 존재 합니다.
그리고 Locale Default로는 en_US로 사용됩니다.
'안드로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me Zone 수정 방법. (0) | 2011.06.22 |
---|---|
Locale Default 설정 및 Use 24-hour format Default 설정 (0) | 2011.06.16 |
Locale에 따른 시간 포멧 설정. (0) | 2011.06.15 |
PowerManager 사용시 유의점. (0) | 2011.06.13 |
Resource[.xml]에서 add-resource 역할. (0) | 2011.05.20 |